오픈소스 컨트리뷰션을 진행하면서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중, macOS와 호환 문제가 있는 것인지 M1칩과 호환이 되지 않는 것인지 특정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는데도 불구하고 라이브러리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반복적으로 출력되어 맥 환경에서의 설치를 포기하였다 (😡)
리눅스에서 빌드를 성공하신 분이 있어, 버추얼박스를 설치하기엔 너무 무거운 것 같아 이참에 도커 맛좀 쬐끔만 보기로 했다
(여러 프로젝트를 작업할 때 도커가 정말 너무 편리해서 안 쓸 수가 없다는 아는 분의 간증 또한 있었기에...)
https://opentutorials.org/course/4781 로 도커를 입문하고 영상 내용을 정리해본 글 (생활코딩 짱)
⌘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은 리눅스 운영체제 기술이다
도커 위에서 돌아가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안의 앱들은 모두 리눅스 기반이다
자신의 컴퓨터가 리눅스 운영체제가 아니어도 도커를 사용할 수는 있다
도커가 알아서 가상머신을 만들고 그 위에 리눅스를 올려주기 때문에 윈도우나 맥이어도 상관이 없음
다만 운영체제가 리눅스라면 가상머신이 필요가 없어 성능이 가장 좋겠지만, 리눅스가 아니라면 가상머신을 올리기 때문에 성능 저하는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래도 그걸 무시할 정도로 편의성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도커를 많이 쓰게 됩니다
도커 설치
도커 실행
이미지를 실행시켜 컨테이너를 만드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