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언어마다 달라지는 내용을 저장해 둔 현지화 라이브러리로 생각하면 됨.
프로그램에서 국제적 이식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의 집합.
언어, 숫자표현, 시간표현, 도량형, 통화표현 등 여러가지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을 카테고리(category)라고 부른다.
jaehejun@cx1r4s3 ~ % locale
LANG=""
LC_COLLATE="C"
LC_CTYPE="UTF-8"
LC_MESSAGES="C"
LC_MONETARY="C"
LC_NUMERIC="C"
LC_TIME="C"
LC_ALL=
jaehejun@cx1r4s3 ~ % export locale LANG="ko_KR.UTF-8" // 전역 로케일 설정
jaehejun@cx1r4s3 ~ % locale
LANG="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CTYPE="UTF-8"
LC_MESSAGES="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ALL=
jaehejun@cx1r4s3 ~ % date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20시 20분 29초 KST // 날짜 및 시간이 한글로 표시된다
jaehejun@cx1r4s3 ~ % unset locale LANG // 로케일 해제
jaehejun@cx1r4s3 ~ % date
Mon Mar 20 20:21:06 KST 2023 // 기본 설정값으로 날짜 및 시간이 표시된다